1. 진단과 평가
1) 진단과 평가란?
- ① 내담자의 신체적, 행동적, 심리적, 정서적 인지적 측면을 판단하여 병리적 측면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
- ②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도 영향을 미치지만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으로 진행
- ③ 대체로 진단의 경우에는 전문가의 임상적 판단보다 표준화된 심리검사를 활용
- ④ 진단 및 평가의 목적은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내담자를 평가하고, 그 평가를 토대로 하여 내담자를 도와주기 위한 것
- ⑤ Full Battery: 여러 검사를 묶어서 내담자에게 적용하는 방식. 이 방식을 사용하는 목적은 여러 검사를 통해 내담자의 특징을 총체적이고 명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것
2) 진단과 평가의 방법: 면담법
(1) 의미
(2) 면담의 단계
- ① 진단하기 위한 단서 포착
- ② 이 단서를 진단의 준거 내에서 살펴보기
- ③ 내담자의 과거력 파악하기
- ④ 진단 및 예후
(3)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
- ① 특정 정신병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준거에 준해서 절차와 질문내용 등을 구조화한 면담
- ② 대표적인 구조화된 면담 준거: DSM
3) (진단과 평가의 방법) 행동평가법
(1) 의미
- ① 특정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 반응, 목표행동, 강화물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둔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기초
- ② 대표적인 측정 대상: 관련 행동의 빈도, 비율, 지속 시간 등
(2) 행동평가 기법
- ① 행동적 면담: 선행 사건, 행동, 결과 간의 관계를 기술하고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 면담
- ② 행동적 관찰: 행동은 명확히 관찰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분명하게 정의되어야 함
- ③ 인지적 행동평가
- ④ 심리생리적 평가: 심장박동, 혈압, 체온, 근육 긴장, 피부 전기 반사 등
4) (진단과 평가의 방법) 심리검사
(1) 의미
2. 심리검사
1) 의미
인간의 적성, 지능, 성격, 정서, 행동 등과 같은 심리적 특성을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양적, 질적으로 탐색하고 평가하는 활동
2) 심리검사의 분류
(1) 객관적 검사
(2) 투사적 검사
- ① 일정한 질문지 형식이나 정답 없이 피검사자가 떠올리는 반응에 기초하여 실시하는 검사
- ② 종류: Rorschach, BGT, HTP, TAT, SCT 등
- ③ 장점
• 피검사자의 독특한 반응 유도 가능
• 피검사자 내면의 심층적 내용을 찾는 데 유용
• 피검사자의 방어의 최소화
- ④ 단점
• 다양한 응답에 대한 명확한 채점 기준의 부재로 인한 실시 및 해석의 어려움
• 훈련을 충분히 받은 검사자만 사용 가능
•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 도전
3) 심리검사의 평가
(1) 심리검사 개발 과정
- ① 1단계: 검사 개발 계획 및 검사 개발 목적 정하기, 검사 개발 절차와 내용 결정
- ② 2단계: 문항 개발 및 검사 내용의 결정, 검사 문항의 형식 결정, 문항 작성
- ③ 3단계: 예비 검사
- ④ 4단계: 문항 분석
- ⑤ 5단계: 본검사
- ⑥ 6단계: 규준 작성과 양호도 분석
- ⑦ 7단계: 검사 요강 작성
(2) 타당도
- ① 의미
• 검사가 무엇을 측정하며 얼마나 정확하게 잘 측정하는지를 평가하는 것
• 검사가 평가 목표와 내용을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
- ② 내용(안면)타당도: 검사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얼마나 잘 대표하는지, 대표적 표본을 얼마나 포함하는지와 관련
- ③ 준거타당도
• 공인타당도: 현재의 검사 결과와 다른 준거 척도에 의해 나타난 결과와의 상관 정도
• 예언타당도: 검사가 측정한 결과가 내담자의 미래 행동이나 특성을 예언하는 정도
- ④ 구인타당도: 특정 행동을 반영하는 가상적 속성, 불완전하고 애매한 구념을 심리학적 개념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검사가 심리적 구성 요인을 제대로 측정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타당도
4) 심리검사 활용의 원리
(1) 결과 해석의 원리
- ① 심리사는 내담자 이해의 보조수단임
- ② 검사 결과로 내담자를 규정하지 않도록 주의함
- ③ 검사에 대한 응답 결과는 실제 생활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④ 검사는 자체만으로 해석하기보다 피검사자에 대한 면접과 관찰이 병행되어야 함
(2) 상담에서의 심리검사 활용
- ① 내담자에 대한 이해
• 상담 전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활용
• 내담자의 적응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
• 검사 결과를 토대로 상담 개입 계획 마련
- ② 대안 마련
• 심리검사를 통해 내담자의 자원을 파악하고,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마련의 정보로 활용
• 진로상담에서 내담자의 관심사, 가치관 등을 파악하여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음
- ③ 상담평가
• 내담자의 문제해결 정도를 확인
• 문제해결 및 증상 감소 등의 정도에 따라 상담의 방향을 잡아 가는데 도움을 줌
• 효과를 가시화해서 제시함으로써 내담자가 적극적으로 상담에 참여하도록 동기화 제공
(※ 출처: 노성덕(2013). 「전문상담교사 길라잡이」.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