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미디어 피해 청소년 회복 지원 사업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학령전환기 청소년(초1, 초4, 중1, 고1)을 대상으로 K척도(인터넷 과의존 자가진단), S척도(스마트폰 과의존 자가진단), 유아동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청소년 도박문제 선별도구(사이버도박용)를 활용한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통해 미디어 과의존 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합니다.
※개별적으로 과의존관련 검사를 원하시는 분들은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를 통해 실시하실 수 있습니다. 검사를 해본 후에 더욱 구체적인 도움을 받고싶다면 사이버 상담을 통해 전문가와의 실시간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상담·치유 서비스
미디어 과의존 위험수준별 개인상담, 집단상담, 부모교육 및 치료협력병원 연계를 통한 치료비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상담‧치유서비스
- 미디어 이용습관 위험군 청소년에게 개인상담 서비스 제공
- 주의군 이상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로 찾아가는 집단상담 서비스 제공
- 청소년동반자 연계를 통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 주의군 이상 청소년의 올바른 미디어 사용습관 형성을 위한 부모교육 제공
- 치료지원
- 종합심리검사 지원
- 치료협력병원 연계 및 치료비 지원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기숙치유 프로그램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의 연령에 따라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캠프와 가족치유캠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캠프
-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단절된 환경에서 7박8일 동안 상담과 다양한 체험 및 대안활동을 통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을
극복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 구성
- 전문가들의 정확한 진단 및 평가
- 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개인상담
- 또래와 함께하는 집단상담
- 부모교육 및 가족상담
- 인터넷·스마트폰을 대체할 대안활동 체험
- 자율성, 성취감, 자존감을 높이는 자치활동
- 캠프 종료 후 청소년동반자 연계를 통한 사후관리
- 대상 및 참가비
- 참여대상 :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조절이 어려운 중·고등 청소년
- 참가비 : 5만원(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 등 취약계층 청소년 무료)
- 2025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캠프 일정 및 장소
- 아래표 참고
번호 | 지역 | 운영기관 | 대상 | 일자 | 장소 | 문의전화 | 비고 |
---|---|---|---|---|---|---|---|
1 | 서울 | 시립마포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강서사무소 | 여자청소년 | 7월19일(토) ~7월26일(토) |
김포 로그밸리 청소년수련원 | 070-4849-3312 | |
2 | 부산 | 부산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여자청소년 | 8월29일(금) ~9월5일(금)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 051-714-5267 | 드림마을 협업 |
인천 | 인천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32-721-2321 | |||||
3 | 대구 | 대구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남자청소년 | 7월27일(일) ~8월3일(일) |
구룡포 청소년수련원 | 053-659-6262 | |
4 | 광주 | 광주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여자청소년 | 7월15일(화) ~7월22일(화)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 070-4261-6584 | 드림마을 협업 |
5 | 대전 | 대전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남자청소년 | 7월9일(수) ~7월16일(수) |
국립대구청소년디딤센터 | 042-252-6579 | 디딤센터 협업 |
충북 | 충청북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43-257-4835 | |||||
6 | 울산 | 울산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남자청소년 | 8월6일(수) ~8월13일(수) |
국립대구청소년디딤센터 | 052-216-1315 | 디딤센터 협업 |
7 | 경기 | 경기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남자청소년 | 7월25일(금) ~8월1일(금)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 031-248-1318(702) | 드림마을 협업 |
8 | 강원 | 강원특별자치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여자청소년 | 8월5일(화) ~8월12일(화)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 033-250-1440 | 드림마을 협업 |
9 | 충남 | 충청남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남자청소년 | 9월9일(화) ~9월16일(화)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 070-5011-8391 | 드림마을 협업 |
전남 | 전라남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61-280-9033 | |||||
10 | 전북 | 전북특별자치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여자청소년 | 8월2일(토) ~8월9일(토) |
익산유스호스텔 | 063-274-1388 | |
11 | 경북 | 경상북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여자청소년 | 7월23일(수) ~7월30일(수) |
국립대구청소년디딤센터 | 054-850-1033 | 디딤센터 협업 |
경남 | 경상남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55-711-1317 | |||||
12 |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남자청소년 | 7월23일(수) ~7월30일(수) |
성이시돌젊음의집 | 064-759-9951 |
※ 거주지역 구분 없이 모든 지역에 참여 가능 합니다.
- 가족치유캠프
-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부모‧자녀 간 갈등이나 학교 부적응 등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초1연령 1박 2일, 초2~6연령 2박 3일 동안 부모교육 및
의사소통 기술훈련 등을 통해 가족관계 개선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 구성
- 청소년 대상 건강한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인식개선 교육
-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의 이해 및 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 부모-자녀 관계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통한 가족갈등 대처방법 교육
- 지역별 특색 있는 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 가족 레크리에이션 등) 실시
- 사후모임을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시간 관리
- 대상 및 참가비
- 참여대상 :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조절이 어려운 저연령 초등(1~3학년), 초등(4~6학년) 청소년과 보호자
- 참가비 : 1인당 15,000원(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 등 취약계층 무료)
- 2025년 가족치유캠프 운영 일정 및 장소
번호 | 지역 | 운영기관 | 신청구분 | 대상연령 | 일자 | 장소 | 문의전화 |
---|---|---|---|---|---|---|---|
1 | 서울 | 창동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 스마트폰 | 초등 4-6학년 | 8월9일(토)~8월11일(월) | 도봉숲속마을&롯데월드 | 02-6953-4072 |
2 | 보라매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 스마트폰 | 저연령(초등 2-3학년) | 6월27일(금)~6월29일(일) | 교원프라퍼티 그린센터경주 | 02-836-1385 | |
3 | 대구 | 달성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저연령(초등 1학년) | 8월12일(화)~8월13일(수) | 호텔아젤리아 및 비슬산 치유의 숲 | 053-614-1388 |
4 | 대전 | 대전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저연령(초등 2-3학년) | 7월31일(목)~8월2일(토) | 국립대전숲채원 | 052-527-3112 |
5 | 세종 | 세종특별자치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초등 4-6학년 | 7월14일(월)~7월16일(수) | 천안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044-867-1318 |
6 | 경기 |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초등 4-6학년 | 9월12일(금)~9월14일(일) | 수원유스호스텔 | 031-218-0425 |
7 | 가평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저연령(초등 2-3학년) | 7월25일(금)~7월27일(일) | 가평청심국제청소년수련원 | 070-4439-5920 | |
8 | 강원 | 원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저연령(초등 2-3학년) | 7월3일(목)~7월5일(토) | 국림평창청소년수련원 | 033-744-1388 |
9 | 충남 | 아산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저연령(초등 1학년) | 5월23일(금)~5월24일(토) |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 041-531-0073 |
10 | 전남 | 영광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초등 4-6학년 | 7월24일(목)~7월26일(토) | 국립나주숲체원 | 061-353-9188 |
11 | 경북 | 영덕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초등 4-6학년 | 7월25일(금)~7월27일(일) | 국립청소년해양센터 | 054-730-7355 |
12 | 광주 | 광주광산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스마트폰 | 저연령(1학년) | 8월2일(토)~8월3일(일) | 국립장성숲체원 | 062-951-1380 |
※ 상기 일정 및 장소는 센터의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신청문의는 각 지역 센터에 연락바랍니다.
※ 거주지역 구분 없이 모든 지역에 참여 가능 합니다.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대응 상담전문인력 양성
- 참여대상
- 1순위: '디지털미디어 피해 회복 지원 사업' 실무자
- 2순위: 실무자로부터 '디지털미디어 피해 회복 지원 사업' 수행을 위한 인력으로 추천 받은 자
- 3순위: 기타 청소년관련단체 종사자
- ※ 2·3순위의 경우, 인원제한 있음.
-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대응 상담전문인력 양성교육(초급과정)
- 아래표 참고
세부과정명 | 교과내용 | 기간 |
---|---|---|
초급Ⅰ 청소년 미디어과의존에 대한 이해 |
|
1일(8시간) |
초급Ⅱ 미디어과의존 청소년 개입의 실제Ⅰ |
|
1일(8시간) |
초급Ⅲ 미디어과의존 청소년 개입의 실제Ⅱ |
|
1일(8시간) |
-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대응 상담전문인력 양성교육(중급과정)
- 아래표 참고
세부과정명 | 교과내용 | 기간 |
---|---|---|
중급Ⅰ 미디어과의존 청소년 개입의 실제Ⅲ |
|
1일(8시간) |
중급Ⅱ 미디어과의존 청소년 개입의 실제Ⅵ |
|
1일(8시간) |
중급Ⅲ 미디어과의존 청소년 가족개입의 실제 |
|
1일(8시간) |
-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대응 상담전문인력 양성교육(고급과정)
- 아래표 참고
세부과정명 | 교과내용 | 기간 |
---|---|---|
고급Ⅰ 수퍼비전 및 심리치료기법Ⅰ |
|
1일(8시간) |
고급Ⅱ 수퍼비전 및 심리치료기법Ⅱ |
|
1일(8시간) |
- 참여방법
- 교육연수정보시스템(edu.kyci.or.kr) 회원가입 및 로그인 → 교육신청 → 전문연수를 통해 교육 신청
바로가기 - 문의
-
미디어중독대응부 초급 양성교육 담당자(051-662-3193)
미디어중독대응부 중급 양성교육 담당자(051-662-3192)
미디어중독대응부 고급 양성교육 담당자(051-662-3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