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전자정부 로고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사이트입니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본원간행물(PDF) 검색

본원간행물(PDF) 상세정보

본원간행물(PDF) 상세정보로 서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도, 총서명, 초록(부가정보), 도서기호, 원문다운로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명 자살시도 위기청소년 상담개입 매뉴얼 개발
저자 서미, 김은하, 최수정, 채민정, 이태영
출판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출판년도 2023
총서명 청소년상담연구 242
초록(부가정보)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시도 청소년 상담과정에서 상담자들의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고, 자살시도 청소년의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청소년 자살시도 및 회복과정의 모형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자살시도 청소년에게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구조화된 상담개입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있다.

매뉴얼 개발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뉴얼 기획단계에서는 청소년 자살시도의 개념 및 특징, 자살시도 청소년 위기개입의 현황 및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문헌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의 자살문제는 성인에 비해 심각한 상황이지만 청소년 자살시도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 자살률 감소를 위해서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개입, 특히 자살시도 이후 초기의 집중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 자살시도는 생물학적, 심리적, 정서적,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 경험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기에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환경인 부모개입까지 고려한 상담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자살시도 청소년 상담개입 경험이 풍부한 청소년상담자 대상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자살시도 청소년 대상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각각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과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이용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현장의 전문가들은 자살시도 청소년 개입과정에서 과중된 업무, 상담자 불안, 제도적/정책적 한계 등의 어려움과 자살시도 청소년에 초점화된 매뉴얼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개발될 매뉴얼에는 구체적인 사례별 예시, 효과적인 개입 이론 및 기법, 상담자 보호 관련 사항 등이 포함되기를 요구하였다.
자살시도 청소년들은 개인 내적으로 불안정한 심리상태, 자기파괴적 대처, 단절과 상실을 경험했으며 사회적 관계 및 적응의 어려움, 역기능적 가족 관계에 처한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건강한 관계 형성, 다양한 경험과 도전, 자기이해 및 수용을 통해 회복할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상담자의 공감적 이해와 수용, 새로운 관점 및 구체적인 이해가 도움이 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둘째, 매뉴얼 개발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매뉴얼의 구성원리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세부 활동내용을 구성하여 매뉴얼 초안을 개발하였다.
상담개입 매뉴얼은 긴급대응, 초기관리, 중기관리, 후기관리로 개입단계에 따라 구성하고, 상담자 태도 및 자기점검과 부모교육 파트를 별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자살시도 청소년의 위기수준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내담자에 따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는 회기를 구성하여 상담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청소년 내담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여 정서, 인지,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활동을 모듈식으로 구성하여 상담자들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매뉴얼 실시 및 평가단계에서는 초안을 바탕으로 현장실무자 관점 평가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평가하였으며, 학계 및 현장전문가의 감수를 받았다.
현장실무자 15명의 참여자 관점 평가 결과 적절성과 활용성 모두 평균 4.5점(5점 리커트 척도)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현장전문가 2인과 학계전문가 2인의 감수를 받아 매뉴얼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시도자에 특화된 상담개입 프로그램이 전무한 상황에서, 자살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상담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군다나 2023년부터 전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자살자해 집중심리클리닉이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장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서기호
원문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